2023년 7월 14일 정부가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강국 목표로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에 총 1천 384억원 자금 지원을 한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강국 도약 시동...국내 유망 기업은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강국 도약 시동...국내 유망 기업은
정부가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에 총 1천384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한다. 이에 힘입어 국내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
zdnet.co.kr
기사를 요약하면
정부는 복합 전력반도체 연구개발(R&D)에 향후 5년간 1384억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전력반도체는 전자제품의 필수 칩으로, 전기자동차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기존 실리콘 기반 반도체보다 높은 전력 효율과 내구성을 제공하는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등 복합 전력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탄화규소(SiC)와 질화갈륨(GaN)은 복합 전력 반도체의 두 가지 주요 유형입니다. SiC 반도체는 최대 섭씨 400도에서 작동할 수 있지만, GaN 반도체는 최대 섭씨 800도에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섭씨 150도에서만 작동할 수 있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보다 더 효율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복합 전력 반도체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국내 기술력 부족과 외국 기업의 특허 선점 등으로 이들 반도체를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신규 투자를 통해 전력반도체 혁신기술 확보, 전력반도체(소재·소자·IC·모듈) 전체 밸류체인 강화, 국내 공급망 안정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보는 국내 복합 전력반도체 업체들의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고 삼성전자, DB하이텍 등 파운드리 업계와 잠재적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GaN 전력반도체 관련주가 궁금하다면 요기로...
SiC 전력반도체 관련주는 어떤 종목들이 있느지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텍시스는 차세대 차량용 SiC 전력반도체용 고방열 스페이서를 개발해 국내외 기업에 지속적으로 샘플을 공급하고 있고 5G 통신용 GaN 반도체용 RF(Radio Frequency) 패키지를 현재 NXP를 비롯한 국내외 여러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다.
하나머티리얼즈는 동의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SiC 기판 소재 폐기물을 재활용해 전력반도체 단결정기판을 초고속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기존 탄화규소(SiC) 분말원료보다 불순물이 적고 비표면적이 적은 초고순도 탄화규쇼 블록을 개발, 상용화 절차 진행 중입니다.
나노씨엠에스는 대만 SiC 기판 제조사에 전력 반도체용 재료를 공급 중이며 전기차 시장 SiC 전력반도체 시장 진출을 진행 중입니다.
알에프세미는 GaN 전력 반도체 뿐만 아니라 1700V급 SiC 전력반도체을 양산 중입니다.
KEC는 시스템 반도체 가운데 SiC 전력반도체 파워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디아이티는 SiC 파워반도체 음 접촉 저항을 낮추는 장비를 개발,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전기차 보급과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 GaN 반도체와 함께 SiC 전력반도체는 반도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앞으로 계속될 사이클 산업이니 꾸준한 추적, 관찰, 공부로 투자 인사이트를 얻기 바랍니다.
(주의: 본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고, 금융투자상품의 매매를 권유하거나 최종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뉴스와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급한 퀄컴, 인텔 CEO '대(對)중 반도체 규제, 더는 안된다'와 관련주 (0) | 2023.07.17 |
---|---|
수해 피해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관련주 (0) | 2023.07.16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업황, 바닥 찍었다 그리고 관련주 (0) | 2023.07.15 |
식약처, 아스파탐 대체물질 조사 그리고 관련주 (part 2) (1) | 2023.07.13 |
국가 양자내성 암호로 전환과 관련주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