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16일 퀄컴, 인텔 CEO들이 바이든 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에 대해 불만을 품고 해결책을 마련하기위해 적극 나선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대중 반도체 규제, 더는 안된다"…다급한 퀄컴·인텔 CEO, 워싱턴서 집결
"대중 반도체 규제, 더는 안된다"…다급한 퀄컴·인텔 CEO, 워싱턴서 집결
美 정부 추가 규제 움직임에 반도체 업체들 설득 나서…엔비디아도 타격 위험 퀄컴, 인텔 등 미국 반도체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바이든 정부의 대(對) 중국 규제에 대해 불만을 품고 해결책
www.inews24.com
기사를 요약하면
미국의 반도체 기업인 퀄컴, 인텔, 엔비디아 등의 CEO는 바이든 행정부와 만나 대중국 규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할 예정입니다. 이들 기업은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이 감소하면, 연구개발(R&D) 투자 역량이 감소해 미국의 첨단 기술 리더십이 약화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작년 10월 고성능 AI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이달 말 이러한 규제에 대한 보완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사양 반도체에 대한 수출 통제 강화, 미국의 첨단 반도체를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중국 기업의 접근 차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화웨이 등의 중국 스마트폰 업체에 대한 반도체 판매 규제도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잠재적인 조치는 새로운 AI 반도체를 준비하고 화웨이에 반도체를 판매하는 인텔, 퀄컴, 엔비디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중 갈등의 핵심은 반도체 규제에 있습니다. 그 핵심이 해소 되면 미중 갈등 역시 대부분 해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대 중국 반도체 규제 완화는 반도체 산업에 태풍으로 작용 될 것입니다.
대 중국 반도체 규제로 현재 중국이 가장 불편해 하는 것이 반도체 장비 산업과 AI 반도체 공급부족 일 것입니다. 따라서 대 중국 반도체 규제가 해소 되면 반도체 장비와 HBM 같은 AI반도체와 관련된 반도체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 수혜가 예상됩니다.
워낙 많은 관련주가 있으나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국과 반도체로 사업을 하고 있는 몇 몇 종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이티는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제조업체로 SK하이닉스에 테스트 부품 및 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지난 7월 4일 미중 갈등 완화 조짐에 움직였습니다. 특히 HBM 수요에 움직이는 종목입니다.
GST는 중국 비중이 높은 스크러버, 칠러 인프라 장비 업체 입니다. 또 유지보수 사업을 하고 있으며 YMTC, 마이크론에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링크제니시스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SEMI(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 표준 통신 소프트웨어 상용화 기술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링크웰을 통해 중국 기업과 합작을 통해 AI 시스템 검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공장자동화 솔루션과 인공지능 기반 영상검사 솔루션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미래산업은 중국의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에 '테스트핸들러' 검사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매출 비중도 높습니다.
디아이는 삼성전자 중국 법인과 DDR5용 반도체 검사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 됩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종목들을 추려봤습니다.
대중국 반도체 규제는 거대한 반도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모르지만 꾸준히 관잘, 공부하여 좋은 투자 인사이트를 얻기 바랍니다.
(주의: 본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고, 금융투자상품의 매매를 권유하거나 최종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뉴스와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사이버트럭 '양방향 충전기' 탑재 가능성 그리고 관련주 (0) | 2023.07.18 |
---|---|
테슬라, '사이버트럭' 생산 시작 그리고 관련주 (0) | 2023.07.17 |
수해 피해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관련주 (0) | 2023.07.16 |
화합물 전력반도체(SiC, GaN) 기술 강국 목표 그리고 관련주 (0) | 2023.07.16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업황, 바닥 찍었다 그리고 관련주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