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 관련주

LFP 배터리 개발에 양극재 수입 늘어 그리고 관련주

가주행선 2023. 7. 11. 08:27
728x90

2023년 7월 11일 LFP 배터리 개발에 따라 양극재 수입액이 늘어난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LFP 배터리 속도…양극재 수입도 쑥

 

'LFP 배터리' 속도…양극재 수입도 쑥

'LFP 배터리' 속도…양극재 수입도 쑥, K배터리 3사, 개발 나서자 8년 만에 수입량·금액 증가

www.hankyung.com

 

 

기사를 요약하면

<출처 : 머니투데이>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LFP(리튬, 인산, 철) 전지에 사용되는 양극재를 중국에서 수입하면서, 국내에서 8년 만에 그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LFP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필요한 소재를 수입하기 때문이다.


LFP 전지는 삼원계 전지에 비해 무게와 에너지 밀도가 낮아 성능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경제성과 구입 용이성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다. 테슬라 등 완성차 업체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고성능 삼원계 배터리 생산에서 LFP 배터리로 전환하는 추세다.

 

<출처 : 나라다에너지>

중국은 전 세계 LFP 배터리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며 이들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LFP 양극재를 중국산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 및 ESS(Energy Storage System) 분야 고객 수요에 부응해 LFP 배터리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LFP 배터리의 경제성과 구입 용이성으로 인해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고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수요도 지속될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2차전지 기업들이 LFP배터리 개발에 투자를 하고있는데......

 

LFP 양극재 관련 기업들은 어떤 기업들일까요?

<출처 : LG에너지솔루션>

먼저, 이엔플러스는 2022년 11월 자체 기술로 'LFP 양극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으며 이외에도 전극제품, 방열 등을 개발하여 테슬라, 현대차 등과 논의 단계에 와있습니다.

 

자이글은 국내 유일 LFP배터리 전지업체 CM파트너 전지사업부를 인수하여 새만금에 2차전지 생산시설을 입주하였고 미국에 LFP 배터리 제조공장 설립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코윈테크는 국내 유일 LFP 전지를 생산하고 있는 탑머티리얼의 모회사입니다. 

 

씨아이에스는 삼성SDI가 참여하고 있는 산업부의 LFP배터리 개발 국책과제 연구기관에 선정, 참여하고 있습니다.

 

엘앤에프는 LFP와 LFMP 양극재 개발에 돌입해 보급형 전기차 배터리에 공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외에도, LFP배터리 양극재 사업이 진출을 선언한 포스코퓨처엠, 개발중인 에코프로그룹, SK이노베이션 등이 LFP배터리 양극재 관련주로 묶여 있습니다.

 

삼원계 배터리의 장점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LFP도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진 2차전지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쩔 수 없이 들어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LFP배터리 시장에 진출하면 현재 90%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양극재 시장을 우리 기업들도 투자,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여기에서 투자의 기회가 나타날 것입니다. 2차전지는 관찰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습관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주의: 본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고, 금융투자상품의 매매를 권유하거나 최종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