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6일 중국 핵심소재 수출규제에 관한 또 다른 뉴스가 나왔습니다.
“中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에 韓 크게 긴장”…희토류 확대시 타격
“中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에 韓 크게 긴장”…희토류 확대시 타격
중국이 갈륨과 게르마늄 등 반도체 필수 광물 수출을 제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반도체 핵심 제조국인 한국이 긴장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당장은 큰 피해가 없지만 중국이 다른 반도체 소
www.seoul.co.kr
기사를 요약하면
중국이 갈륨, 게르마늄 등 반도체 필수 광물의 수출 제한을 선언한 것은 반도체 핵심 생산국인 한국을 우려하게 만들었습니다. 즉각적인 피해는 없지만, 중국이 다른 반도체 소재에 대한 수출 규제를 확대할 경우 한국도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와 긴급 점검 회의를 열어 갈륨 및 게르마늄의 재고 현황과 수입 동향을 점검했습니다. 산업부는 단기적인 공급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다른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중국의 동향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진짜 우려는 중국이 갈륨이나 게르마늄과 같이 상대적으로 얻기 쉬운 광물이 아닌 희토류와 같은 핵심 자원을 무기화하는지 여부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수출 규제 선언을 미국이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수출을 제한한 것에 대한 대응책으로 한국, 일본, 네덜란드 등 반도체 선진국을 타격하려는 의도로 보고 있습니다.
본문 내용에
'산업부 관계자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갈륨을 팔고 있지만 2013년까지만 해도 한국의 고려아연에서 갈륨을 생산했다”며 “게르마늄 가스도 국내 업체들이 아르곤 가스로 대체해 쓰고 있어 큰 지장이 없다”고 전했다. 진짜 문제는 중국이 갈륨이나 게르마늄 등 비교적 구하기 쉬운 광물이 아닌 희토류 등 핵심 자원을 무기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라고 써있습니다.
게르마늄 가스의 대체품인 아르곤 가스 관련주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풍국주정은 자회사 선도산업을 통해 각종 산업용 고압가스인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및 의료용가스, 냉매가스, 혼합가스 등을 제조 공급하고 있다.
태경케미컬은 드라이아이스·액체탄산 등의 탄산가스사업시장점유율 40%를 차지하며 국내 1위로 액체탄산 27%, 드라이아이스 37%이며, 주요 제품인 액체탄산은 공업용(조선, 용접)과 식품용으로, 드라이아이스는 식품보관용으로 이용되며 기타 에틸렌, 질소, 산소, 아르곤 등 산업용 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철강은 'REVEX(Reversing Heat Exchange)' 타입의 설비를 갖추고 높은 순도의 아르곤 등을 대량 생산, 공급하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은 전혀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이 다음 어떤 핵심광물을 수출 규제할지 예의 주시하면 투자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주의: 본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고, 금융투자상품의 매매를 권유하거나 최종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뉴스와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시대 HBM반도체 장악한 한국과 관련주 (PART. 1) (0) | 2023.07.08 |
---|---|
스레드 16시간 3천만명 가입과 메타 관련주 (0) | 2023.07.07 |
중국 다른 광물(흑연) 수출규제 확대 가능 그리고 관련주 (PART 2) (0) | 2023.07.05 |
중국 다른 광물(니켈, 코발트, 망간) 수출규제 확대 가능 그리고 관련주 (PART 1) (0) | 2023.07.05 |
SMR 얼라이언스 출범과 관련주 (0) | 2023.07.04 |